자녀에게 당신은 어떤 부모입니까?
KINGDOM LIFE &
부모교육
자녀에게 당신은 어떤 부모입니까?
유아교육출판사근무/ HTM 유아교육담당 박원영
부모들은 말한다. 자녀는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자 기쁨이라고. 하지만 부모에게 기쁨을 주는 사랑스러운 모습의 자녀가 아닌, 울고 떼를 쓰는 고집불통의 자녀에게는 어떠한가? 조그마한 일에 토라지고화를 내는 자녀에게는 어떠한가? 부모의 말에 불순종하는 자녀에게도 그렇다고 말할 수 있는가. 오랫동안 가족치료를 연구해 온 존 가트맨 박사는 자녀들이 울거나 화내고 떼를 쓰는 등의 부정적인감정을 나타낼 때, 부모들이 보이는 양육 태도를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정리해서 말하고 있다. 자녀의 감정을 무시하는 부모, 자녀가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도록 억압하는 부모, 자녀가 느끼는감정을 마음껏 표현하도록 자유방임하는 부모, 마지막으로 자녀가 부정적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도와주는 부모 등의 네 가지 유형이다.
자녀의 감정을 무시하는 유형의 부모는 자녀의 부정적인 감정을 다루는 최선의 방법이 그냥 무시하고 넘어가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슬퍼하거나 화를 내고 좌절하는 자녀를, 모른척하거나 자녀에게 슬퍼하거나 나쁘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며 아이에게서 그러한 감정을 떼어놓으려 한다. 억압하는 유형의 부모는 자녀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참으라고 한다. 그러한 감정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말한다. 무시하는 유형의 부모와 비슷할 수도 있으나, 다른 점은 부정적인 감정을 갖는 것에 대해 비판하고 벌을 주어 부모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녀를 통제하려 한다는 것이다. 자유방임하는 유형의 부모는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는 자녀를 간섭하지 않고 방치한다. 자녀의 감정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녀가 부정적 감정을 맘껏 발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자녀가 부정적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형의 부모는 자녀가 왜 그러한 감정을 느끼는지 이해하고, 자녀가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면서도 동시에 부정적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적절히 통제하며 도와주는 모습을 보인다. 예를들어 자녀가 화를 내거나 울 때“네 기분을 말해볼래? 네가 그렇게 느꼈구나.”라고 말하며 먼저 자녀의 감정을 인정해 준 다음, 소리를 지르며 떼를 쓰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됨을 알려 주고, 부정적인 행동 대신 어떤 방법으로 상한 감정을 표현하면 좋을지 생각해 보자고 말해준다.각각의 양육 태도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도 함께 살펴보면, 부모가 자녀의 부정적인 감정을 무시할 때 자녀는 자신의 감정과 의사가 무시되어심한 거절감을 느끼고, 슬픔이나 분노 같은 감정을 가져서는 안 되는 나쁜 감정으로 여기게 된다고 한다. 감정을 억압당하는 자녀는 스스로 판단하는 것에 대해 자신감을 잃게 되고, 자기 자신이부족하고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어 낮은 자존감을 갖게 되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일에서툴러서 친구들과 어울려 지내는 것을 힘들어
한다.
자유방임하는 경우에는 자녀가 자신의 감정을 편하게 표현하고 자신감 있는 아이로 자랄 수는있겠지만, 부모가 아예 간섭하지 않고 방치한 나머지 자칫 자신의 감정을 인내하거나 적절하게조절하지 못할 수 있다. 그래서 자신의 감정만을생각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을 헤아리지 못하기때문에,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기 어려워 사회성이 부족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부정적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모의 자녀는 감정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 편안함을 느끼면서 동시에 부정적인 감정을 다루고 문제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고 한다.
나는 과연 자녀가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때 어떠한 태도로 자녀를 대했을까? 대부분의 부모가 자녀의 감정을 억압하고 부모의 생각에 맞추어 통제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몸과 마음이 지쳐 고달플 땐 자녀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방치하기도 했을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유교적가치관의 영향을 받은 동양권의 부모들은, 자녀가 올바르게 자라도록 어려서부터 무엇이 선한것이고 무엇이 악한 것인지를 알려주며 통제하는것을 부모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이라고 여긴다. 부모의 기준에 따라 자녀가 생각하고 행동하도록알려주며 순종을 요구하는 것이다. 자녀를 통제하고 순종을 요구하는 것이 나쁘다는 말이 아니다. 부모-자녀 관계에서 적절한 통제와 순종은필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방법은 아닌 듯하다. 하나님께서 자녀 된 우리를 양육하신 방법을 생각해 보자.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의 제일은 사랑이라 고전 13:13
그 중의 한 율법사가 예수를 시험하여 묻되 선생님 율법 중에서 어느 계명이 크니이까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크고첫째 되는 계명이요. 둘째도 그와 같으니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 마22:35-39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과 존중과 자유로 키우신다. 통제에 의한 순종보다 사랑을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하신다. 에덴동산에 선악과를 두셨던 것처럼 하나님은 우리가 나약한 존재임을 알고 계심에도 우리에게 선택할 자유를 주셨고, 우리가잘못된 선택을 할지라도 사랑과 인내로 우리를 기다려 주셨다. 우리가 죄를 짓지 않도록 통제하시기보다, 우리가 자유 안에서 책임감 있는 선택을 하며 살아가도록 하셨다. 물론 구약에 나타난하나님은 계명과 율법을 지키지 않는 자들을 엄하게 벌하셨다. 하지만 예수님이 오신 후로 우리는 예수님을 통하여 새 언약을 받았다.
그들의 잘못을 지적하여 말씀하시되 주께서 이르시되 볼지어다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과 더불어 새 언약을 맺으리라
또 주께서 이르시기를 이 언약은 내가 그들의 열조의 손을 잡고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날에 그들과 맺은 언약과 같지 아니하도다
그들은 내 언약 안에 머물러 있지 아니하므로 내가 그들을 돌보지아니하였노라 또 주께서 이르시되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과맺을 언약은
이것이니 내 법을 그들의 생각에 두고 그들의 마음에이것을 기록하리라 나는 그들에게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게 백성이 되리라
또 각각 자기 나라 사람과 각각 자기 형제를 가르쳐 이르기를 주를 알라 하지 아니할 것은 그들이 작은 자로부터 큰 자까지다 나를 앎이라
내가 그들의 불의를 긍휼히 여기고 그들의 죄를 다시 기억하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새 언약이라 말씀하셨으매 첫것은 낡아지게 하신 것이니
낡아지고 쇠하는 것은 없어져 가는 것이니라 히8:8-13
하나님께서는 더 이상 우리의 죄를 벌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억조차 하지 않으신다 하셨다. 예수님께서 우리의 죄를 해결해 주셨기 때문에 더이상 우리는 잘못된 행위로 인해 처벌을 받거나통제 당할 필요가 없게 된 것이다. 예수님께서는우리에게 사랑이 가장 큰 계명이라 가르쳐 주셨다. 계명들을 잘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말씀하지 으시고 사랑하라 하셨다. 그런데도 우리는 자녀의 잘못된 감정이나 실수를 책망하고처벌하기 일쑤이다. 자녀를 책망하고 처벌하는 부모라고 해서 자녀에 대한 사랑이 없다거나 부족하다는 것이 아니다. 그들 역시 자녀를 사랑하는 마음이 충분히 차고도 넘친다. 하지만 예수님께서 주신 새 언약안에서 사는 방법, 이 땅에 임한 하나님나라를 우리의 삶 속에 나타내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아직도 구약 때처럼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것을 지켜 행하며 자녀를 통제하려는 것이라 생각된다. 아직도 부모 자신이 죄에서 해방된 삶을살지 못하기 때문에 죄와 실패를 두려워하는 것이다. 그래서 자녀가 죄에 물들지 않도록 자녀를세상으로부터 보호하려 하고, 통제하며 순종을요구하는 것이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것은 두려워하는 마음이 아니요 오직 능력과 사랑과 절제하는 마음이니 딤후1:7
새 언약을 받고 이 땅에 임한 하나님나라의 삶을 살아가는 부모라면 더 이상 두려움에 의해 자녀를 통제하고 복종시키려 하지 말아야 한다. 하나님의 임재 가운데에는 두려움이 있을 수 없다.하나님의 자녀 된 우리는 더 이상 옛 언약의 방식을 따라서는 안 된다. 하나님은 우리를 통제하고싶어 하지 않으신다. 하나님은 우리가 하나님이주시는 말할 수 없는 은혜와 자유, 사랑을 누리기를 원하신다. 그리하여 이 땅에 하나님의 말씀을이루고 하나님나라를 세우기를 원하신다. 하나님이 예수님을 통해 우리에게 주신 새 언약을, 자녀들을 양육할 때에도 적용시킬 수 있어야 한다. 명령과 통제, 위협이 아닌 사랑과 존중으로 자녀를양육하자.
주변에서“어려서는 정말 순종적이고 말썽 한번 안 부렸는데 왜 이렇게 변했는지 모르겠어.”라는 말을 종종 듣곤 한다. 이때 부모는 자녀가변하기 시작한 시점에 새롭게 접한 사람이나 환경을 탓하기도 한다. 하지만 정말 어려서는 안 그랬던 것일까? 어리기 때문에 힘이 없어 순종처럼보이는 복종을 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그래서점차 자라 부모 곁을 떠나 통제에서 벗어나는 순간 눌러 왔던 것들을 내뿜어 내는 것은 아닐지 생각해 볼 일이다. 마치 단속 카메라 앞에서만 급하게 속도 줄이는 운전자와 같이 말이다.험한 세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자녀를 통제하려는 부모의 욕심일 수도 있다. 하나님나라에 속한 부모라면 자녀를 바라보는 관점부터 바꾸어야 한다. 우리의 자녀는 문제투성이의 내 자녀가 아닌, 하나님의 온전한 사랑을 전해주어야 할 하나님이 우리에게맡기신 하나님의 자녀이다. 하나님나라의 법칙에따라 지금 눈에 보이는 자녀의 문제 행동이 아닌,성령 안에서 변화된 자녀의 모습을 눈앞에 그리고 바라보며 선포하고 축복하자. 그럴 때 힘들었던 자녀와의 관계가 회복되고, 자녀의 삶 속에 사랑과 온유와 화평과 감사의 성령의 열매들이 맺어질 것이다. 하나님의 진리 안에 자유하고 그 자유를 자녀와 함께 누리는 부모로 거듭나자.